★ 제주하천탐사 91

2022제주하천탐사 제55차 탐사(궁산천1구간) - 2022.1.8

2022년 새해 첫 하천탐사를 다녀오다. 2018년 궁산천 탐사를 마치고 4년만의 앙코르 탐사이다. 궁산천은 도순천의 지류이며 한라산 선작지왓 부근서 발원하여 해발 300고지 도순다원과 활오름을 휘돌아 중산간도로 도순2교 부근에서도 본류와 합류를 한다. 궁산천이 시작되는 부근엔 녹나무자생지가 있으며 산록도로 부근까지는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동백나무등이 주로 관찰된다. 탐사일 아침의 여명 도순천본류와 합류하는 지점 궁산천으로 진입을 한다 녹나무 자생지 잠시잠깐 너희들 보굼자리에 머물렀음을 용서하길 바라며.. 원앙소 제2 원앙소 물질하는 해녀 형상 2022년 새해 탐사대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며 시산제를 지내다 궁산천 바로 옆 도순다원 해발 300고지를 넘어서니 협곡들이 나타난다 보름달 노봉방 ^^ 궁산천 ..

2021제주하천탐사 중문천3구간 탐사를 마치다 - 2021.11.20

2021년도 마지막 하천탐사는 중문천 3구간 탐사를 끝으로 한 해 동안 사고없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및 4인이상 집합금지등 방역조치로 인해 어려움이 많은 한 해 였지만 미탐사 구간등 도움주신 분들께 깊은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일원으로 3개월간 7차례에 걸친 노탐활동에 기여해주신 분 들 께도 감사한 마음 전합니다. 중문천은 서귀포시 중문동 천제연폭포 하류 베릿네 해안까지 이어지는 하천으로 색달천의 지류인 하천입니다. 중문천 또한 한라산둘레길 부근인 해발 500m이상에 수많은 지류들이 합쳐진 하천이지만 중문천의 발원지는 영실 삼거리부근으로 추정하며 민모루오름과 중문목장, 레이크힐스CC를 지나 중산간도로 중문2교 상류서 색달천과 합류후 천제연폭포까지..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4차 하천탐사 활동 사진 - 2021. 8. 7.

#문화도시서귀포 #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제주하천탐사대 #도순천 #도순천지류고지천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4차 활동으로 고지천 구간을 2구간으로 진행한다. 8월 한낮의 뜨거운 열기와 푹푹찌는듯한 습함이 탐사대를 힘들게 하였지만 무사히 4.6km구간을 탐사 마치다 중산간 도순2교에서 고지천 탐사 시작 여기까진 도순천 본류 도순천 본류에서 고지천 지류 방향으로 탐사 시작부터 큰바위들이 하천을 진행을 막는다 지질구조 어김없이 무단 투기된 쓰레기들 침니등반으로 통과 덥다 더워~~ 약15m정도 무명폭포 두상석 모듬 폭포 상단을 우회후 하천 다시 진입 급류로 인한 절개지 훼손 원형폭포 용천수 빌레지대 원시림에 가까운만큼 자연 그대로다 누리장나무꽃 만개 제3산록교 ..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3차 활동 사진 - 2021. 7.24

#문화도시서귀포 #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제주하천탐사대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3차 활동은 안덕면 사계리 단산오름 클라이밍코스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암벽기초도 제주하천에서 무명폭포나 협곡구간에서 유용하게 쓰일수 있어 이번 노탐 3차는 슬랩코스와 C코스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일주일간 강우가 없어 암질은 최상태였고 6호 태풍 영향으로 바람도 불어 즐거운 활동을 하였습니다. 제주지역에 코로나19 거리두기 3단계로 4인이상 활동이 금지되 4명씩 조편성후 2개조로 진행하였습니다 렌즈구름 형제섬 사계마을과 해안 슬랩코스 시작점 베이스캠프 ㅎㅎ 제1조 홧팅 ^^ 슬랩코스를 마치고 C코스로 이동 C코스 스타트 빌레이 걸~~ 서귀포 조 제주시 조 3차 노탐 사고없이 마무리..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2차 하천탐사 활동 사진 - 2021. 7.17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2차 활동으로 도순천 법정항일교~서귀포자연휴양림 구간 약 2.7km구간 탐사하였습니다. 장마로 인한 높은 습도와 전날 제주서부지역및 산간에 호우주의보가 발효될 만큼 많은 비가 내려 탐사지를 변경할 계획이었지만 전날 오후부터 비가 그쳐 예정된 코스를 진행. 오랜만에 보는 파란 하늘이 가을하늘 만큼 상쾌한 하루였습니다. 한라산둘레길안내소로 가는 법정사길의 법정항일교에서 스타트 하다. 하원수로길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나무숲터널 구간은 아직도 습기로 진행에 장애가 된다 제주하천바닥의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지질구조 일제시대인지 70년대 새마을사업 관련인지 발파의 흔적들 발파전 다이너마이트 장착할 위치에 돌구멍을 낸 흔적들 또다른 하천의 지질 한라산 600고지 이상은 단풍나무, 서어나무등 납..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 선정 1차 하천탐사 - 2021. 7. 10

2021서귀포노지문화탐험대에 선정되어 1차 노탐 활동으로 도순천 다녀왔습니다 도순천은 첫탐사와 앙코르탐사, 단풍탐사등을 거치며 여러차례 탐사를 마친곳이라 지형이 많이 익숙합니다. 한라산 선작지왓에서 발원하여 영실 비폭포를 흘러내려 법정악 오름 하단을 휘돌아 냇길이소와 강정댐을 지나 구럼비해안까지 이어지는 산남지역에선 규모가 큰 하천입니다. 노탐 1차 탐사는 서귀포시 하원동 원만사입구에 주차후 도보로 도순천까지 이동 산록도로 제1산록교 상류까지 약 2km구간 탐사를 마쳤습니다. 며칠째 이어지는 장마기간과 전날 강수로 인해 곳곳에 沼가 만들어지고 젓은 이끼류에 의한 안전사고 우려로 탐사를 조기에 마감하였습니다. 다음주 노탐 2차 탐사는 도순천 법정항일교부터 휴양림구간을 탐사 합니다 탐험활동기간 배낭 부착용 ..

2021제주하천탐사 화북천 1구간 탐사 - 4. 17

제주시 동북쪽을 흐르는 하천인 화북천은 한라산국립공원내 어후오름,불칸디오름,쌀손장오리오름 부근서 발원하여 첨단과학단지와 영평동을 지나며 지류인 방천과 만나고 이어 지류인 부록천과 합류하여 별도봉을 지나 화북 곤을동 해안까지 이어지는 하천입니다. 하류는 제방및 하천준설구간이 대부분이며 1구간 종점인 영평동부근서 협곡구간들이 나타납니다. 화북천1구간은 제주 4.3사건 당시 토벌대에 의해 소개되어 지금은 마을 흔적조차 없는 잃어바린 마을 곤을동해안서 시작한다. 제주 외항에 정박중인 화물선 별도봉 우측으로 제주 오현고등학교 건물이 보인다 일주도로 별도교 통과 황사 미세먼지로 뿌연하늘 제2거로교 통과 부록천이 합류하는 지점 좌측 부록천 다리... 우측이 화북천 본류 방향 번영로 제1거로교 통과 좌측 화북천......